티스토리 뷰
[정보] 새로운 신용점수제 달라진 점은?
신용점수제란?
금융위원회의 [개인신용평가체계 개선방안(2048.1.30)에 따라 2020년 12월 29일부터 신용평가시 등급간 문턱효과를 없애기 위해 "신용등급"대신 "신용점수"를 활용합니다.
신용등급제 NO! 신용점수제 YES!
1. 신용점수만 이제는 등급을 쓰지 않습니다.
2. 대부업 정보가 신용평가에 활용됩니다.
3. 비금융정보 활용이 확대됩니다.
4. 대출 상품 특성이 평가에 활용됩니다.
올크레딧(https://www.allcredit.co.kr/screen/sc4558891189)
신용점수제 전환 전후 변화 예
그동안 개인 신용 평가를 신용등급으로 진행하였는데요, 2021년부터는 신용등급이 아닌 신용점수제로 신용 상태를 평가하는 신용점수제의 도입이 되었습니다.
저는 크게 신용등급이나 점수제와의 차이가 와닿지가 않았는데 대출을 받으려는 시기가 다가오거나 신용카드 발급을 위해 검토를 하시는 분들에게는 신경이 많이 쓰일 것 같네요. 예를 들어 자신의 개인신용등급이 하위 6등급과 상위 7등급이어서 7등급으로 되어 있던 분들은 대출을 받을 때 거절이 되거나 대출 이자가 올라가는 불이익이 있었는데, 이번 신용점수제로 바뀜으로써 조금 더 여신평가에서 세밀하게 검토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신용카드 발급 신용점수제 가능점수
기존 등급제의 경우 신용등급이 6등급 이상이어야 신용카드 발급 가능.
이제는 점수제로 바뀌면서 달라졌는데, 나이스신용평가와 코리아크레딧뷰의 평가 기준은 아래 표와 같이 바뀌었다.
나이스신용평가(NICE) | 680점 이상 |
코리아크레딧뷰(KCB) | 576점 이상 |
신용 점수 올리는 방법
1. 신용점수 조회
예전에는 신용점수를 조회하면 신용도가 떨어진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신용점수를 꾸준히 조회하고 관리하는 것이 개인의 신용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하여, 자주 변동되는 신용점수를 조회하고 관리하시길 바랍니다.
2. 주거래 은행을 정해 꾸준히 이용, 연체는 금물!
이건 정말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자신이 금융거래 정보가 거의 없는 사람이라면(신파일러 Thin Filer) 주거래 은행을 먼저 만드셔야 합니다. 그리고 이 은행을 통해 급여 관리, 공과금이나 카드 납부 등 거래 실적을 한곳에 모아 놓는 것이 신용 점수에 도움이 됩니다.
대신 소액이라도 연체가 되면 신용점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니 주거래 은행에서 6개월 이상 금액을 꾸준히 사용하면서 연체 거래 기록이 없기만 해도 신용점수는 최대 50점가량 올라간다고 하니 주거래 6개월 이상과 연체 없기 꼭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3. 카드는 신용카드뿐만 아니라 이제 체크카드도 꾸준히 6개월간 30만 원 이상 사용할 것.
2번의 내용과 비슷한 내용인데요, 예전에는 신용카드를 주로 신용평가 실적에 사용을 했지만 이제는 체크카드 소비패턴도 점수에 반영을 시키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NICE, KCB의 평가 항목에 따르면 신용거래형태 비중이 늘어 카드 사용에 대한 비중이 늘었는데요. 신용카드의 경우 한도의 30% 내외로 지출할 것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신용카드의 할부 거래는 빚(부채)가 되기 때문에 최대한 할부 기간을 짧게 쓰고, 연체는 없도록 주의하였으면 합니다.
4. 현금서비스나 카드론은 사용 X
최대한 위의 서비스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저신용자들은 현금서비스나 카드로보다는 정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한다고 하는데요. 금융감독원 사이트를 통해 햇살론이나 사잇돌대출 등 각종 맞춤 대출 서비스가 있으니 저신용자이신 분들은 카드사의 현금 서비스는 이왕이면 없는 거라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5. 금융거래 이력이 충분하지 않은 분들은 공과금 기록 제출할 것
사회 초년생이 이에 해당되는데요, 개인의 금융거래 이력이 충분하지 않기에 초기 점수가 낮을 수 있습니다. 신용점수 올리기 서비스를 통해 그동안 납부했던 통신비나 국민연금, 건강보험과 같은 비금융 정보 등을 핀테크 앱(카카오뱅크 앱, 토스 등)을 통해서 제출하게 되면 신용점수를 11점 정도 가산점으로 받을 수 있다고 하니 과도한 지출을 하지 마시고, 그동안의 성실 납부 내역을 제출하여 점수를 올리시길 바랄게요.
'정보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국민내일배움 카드 신청 방법 2가지 (0) | 2021.02.19 |
---|---|
[정보]청년주거급여 분리지급 온라인 신청 오픈 (0) | 2021.02.18 |
[정보] 신용등급 무료 조회방법 (0) | 2021.02.18 |
[정보] 2021 서울시 입학하는 중고등학생 입학준비금 지원 (0) | 2021.02.15 |
[정보] 2021 서울 청년월세지원 모집 (0) | 202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