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주식] 주식의미 ETF ETN 비교

 

 

 

 

요즘 주식에 관심이 있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개념도 모르겠고 뭘 해야 할지 모르겠죠

오늘은 주식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주식

주식은 회사의 소유권이며 주식을 소유한 주주는 이를 통해 의결권 수익자산을 보유할 수 있다

자본 조달 목적으로 일반인에게 개방하는 것을 신규상장이라고 말하고 상장 시 비공개 기업은 공개 기업으로 전환된다

 

주식사고 파는 이유

주식을 사고파는 이유는 주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회사가 발행한 총주식 중 소유한 주식의 지분만큼 회사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주주는 일차적으로 이익청구권을 행사해 회사에 이익을 돌려받는 배당을 얻을 수 있고 자유롭게 주식을 사고팔고 시세 차익을 내어 돈을 볼 수 있다

 

주식 가격은 어떻게 책정되는 것일까

주가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 된다

매수 하는 사람이 매도하는 사람보다 많을수록 가격은 올라가고

반대 경우에는 가격이 내려간다

 

주가는 변동이 있을 때마다 회사의 가치에도 변동이 생긴다

시가총액은 회사의 가치를 판단하는 지표로 유통 주식수와 주가를 곱하여 계산한다

 

 

시가총액 구하는 방법

발행된 유통 주식 수 X 현재 주식의 가격 = 시가총액

50000 X 1000원 = 50,000,000

발행된 유통 주식 수가 5만 현재 주식의 가격 1000원이라고 하면 시가총액은 총 50,000,000이 된다

 

ETF VS ETN

ETF는 우리말로 상장지수펀드이다

특정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돼서 운영되는 인덱스 펀드 일정으로 거래소에 상장되어 실시간으로 매매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ETF를 잘만 활용하면 펀드 투자가 갖는 장점은 그대로 누리면서 불편함을 덜 수 있다

ETFd의 대표적인 장점으로는 소액으로 분산투자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코스피 지수 2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한 주를 사면 200개 기업에 분산투자한다고 보면 된다

 

 

ETF가 추종하는 지수는 국내에서 글로벌까지 주식부터 채권 통화 원자재까지 시장 대표 지수 부터 섹터 테마까지 다양하다

따라서 ETF를 이용하면 전 세계 다양한 자산에 손쉽게 분산투자할 수 있다

일반 펀드에 비에 수수료도 저렴하고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는 것도 

또 하나의 장점이다

 

 

ETN는  상장지수 증권을 사전적으로 뜻하는 것으로 특정지수의 수익을 추정하도록 증권 회사가 발행한 파생결합증권이다

채권과 원자재 선물 주식 통화 등의 투자에 해당 상품 가격이 오르면 생일도 따라 오르기 마련인데 금융 회사가 자기 신용으로 발행하고 거래소에 상장되기 때문에 시장에서 ETN을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다

미리 약정한 기초 지수 수익률을 지급하겠다고 발행자의 약속하기 때문에 추적 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ETN 또한 다양한 투자 상품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증권사가 LP 역할을 한다는 점은 ETF와 동일하다

 

ETF VS ETN

 

ETN 상장지수 증권은 ETF와 비슷한 개념이지만 증권사에서 발행하는 채권이다 기본 수익률 지급을 약속 있기 때문에 만기 시에 이를 돌려받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반응형
댓글